Programming/python

Udemy Python Boot Camp Section 19 정리 | 인스턴스, 고차함수 Instance, High Order Functions

자히Zahi 2024. 11. 17. 17:35

* 이 글은 필자가 자신이 배운 내용을 정리하기 위한 것이며, 결코 Udemy 강의를 결제하지 않은 타인의 학습을 고려하여 작성되지 않았습니다.

* 이 글을 학습에 활용하기를 원하신다면, Udemy에서 '[한글자막] Python 부트캠프 : 100개의 프로젝트로 Python 개발 완전 정복' 강의를 구매하시는 것을 권장드립니다.

 

 

이번 포스트는 내용이 정말 짧다! 강의에 개념 관련 내용이 적어서 그런 것뿐이지, 귀찮거나 해서 줄인 게 아니다. 절대로.

 

 

파이썬에는 고차함수라는 개념이 있다. 이는 모든 언어에 존재하는 개념은 아니지만, 파이썬에서는 여러 함수를 겹쳐서 사용할 수 있다.

#code
def add(n1, n2):
    return n1 + n2

def subtract(n1, n2):
    return n1 - n2

def calculate(n1, n2, func):
    return func(n1, n2)

 

와 같은 형식이다. 이때, 다른 함수의 매개변수 란에 함수를 넣게 된다면 인자를 쓸 때에 괄호를 넣지 않음에 주의한다.

 

그리고 만약 코드나 함수가 자신의 코드에 설명이 되어있지 않은, 타인의 라이브러리를 가져온 것이라면 위치 인자 대신에 키 인자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고 한다. 그래야지 코드에 설명이 되어있지 않아도 그 매개변수의 의미를 알 수 있기 때문이다.

 

 

제목에 인스턴스라는 말이 있는데, 인스턴스가 무엇일까?

전 글에서 class는 객체를 만드는 청사진이라고 한 적이 있다. 그러므로 같은 class로 여러 개체를 만들 수 있다.

이때 각각의 개체를 인스턴스라고 한다. 인스턴스의 이름을 같게 해도 큰 상관은 없는듯 하다... 대신 이름이 아닌 다른 방식으로 구분할 수 있게 리스트같은 곳에 넣는다면 순서로 구분할 수 있게 될 것이다.

 

 

예전에 쓴 내용이라 이게 끝인지 아니면 날라간건지 모르겠지만 만약 추가해야할 내용이 있다면 그때 가서 추가하겠다.

이 글은 여기서 끝.